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Translations:Orientation Selective Ganglion Cell/11/ko"

From Eyewire
Jump to: navigation, search
(Created page with "기록된 초기 과분극은 중심의 주변장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빛 띠의 길이가 감소하였고 과분극은 크기 면에서 감소했습니...")
 
(No difference)

Latest revision as of 04:03, 8 January 2016

Information about message (contribute)
This message has no documentation. If you know where or how this message is used, you can help other translators by adding documentation to this message.
Message definition (Orientation Selective Ganglion Cell)
It is hypothesized that the initial hyperpolarizations recorded are caused by the field peripheral to the center. The length of the slit of light was reduced, and it was found that the hyperpolarizations decreased in amplitude. When the slit of light was reduced to 300 micrometers there was an initial hyperpolarization, but the sustained hyperpolarization was replaced by depolarization. At 225 micrometers, the hyperpolarization response was no longer found and the orientation selective ganglion cells did not show a preference to orientation with this stimulus. This means that inhibition from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receptive field is necessary for orientation selectivity<ref name="Bloomfield"></ref>
Translation기록된 초기 과분극은 중심의 주변장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빛 띠의 길이가 감소하였고 과분극은 크기 면에서 감소했습니다. 빛 띠가 300 마이크로미터로 감소되었을 때 초기 과분극이 나타났지만 지속적이던 과분극은 탈분극으로 교체되었습니다. 225마이크로미터에서는 과분극 반응은 더 이상 보이지 않았으며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는 이 자극에 대해서는 오리엔테이션에 대한 선호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 것은 수용장의 주변 구역에 의한 억제가 오리엔테이션 선택성에 필요하다는 것을 뜻합니다.<ref name=\"Bloomfield\"></ref>

기록된 초기 과분극은 중심의 주변장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빛 띠의 길이가 감소하였고 과분극은 크기 면에서 감소했습니다. 빛 띠가 300 마이크로미터로 감소되었을 때 초기 과분극이 나타났지만 지속적이던 과분극은 탈분극으로 교체되었습니다. 225마이크로미터에서는 과분극 반응은 더 이상 보이지 않았으며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는 이 자극에 대해서는 오리엔테이션에 대한 선호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 것은 수용장의 주변 구역에 의한 억제가 오리엔테이션 선택성에 필요하다는 것을 뜻합니다.Cite error: Invalid <ref> tag; refs with no name must have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