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Translations:J-RGC/37/ko"

From Eyewire
Jump to: navigation, search
(Created page with "===망막 신경절 세포와 방향 선택성 소구 세포간의 관계=== J-망막 신경절 세포의 소구 말단(JAM-B 세포가 대부분)은 Drager와 Hubel의 생...")
 
(No difference)

Latest revision as of 19:44, 30 December 2015

Information about message (contribute)
This message has no documentation. If you know where or how this message is used, you can help other translators by adding documentation to this message.
Message definition (J-RGC)
The collicular termination of J-RGCs (of which JAM-B cells are a majority) is intriguing in light of a study in which Drager and Hubel mapped the receptive fields of neurons in the superior colliculus of the mouse. Nearly all of the direction-selective neurons they studied (35 out of 38) preferred upward motion in the visual field. This preference corresponds to that of J-RGCs.<ref name="kim2008" /> Kim ''et al''. have proposed that the receptive fields of direction-selective collicular cells are built from J-RGCs. Research remains to be done on this topic.
Translation===망막 신경절 세포와 방향 선택성 소구 세포간의 관계===

J-망막 신경절 세포의 소구 말단(JAM-B 세포가 대부분)은 Drager와 Hubel의 생쥐 상구에 존재하는 신경세포의 수용장을 밝혀낸 연구에 비추어볼 때 아주 흥미롭습니다. 그들이 연구한 방향 선택성 신경세포의 거의 모두(38개 중 35)가 시각장에서 상방 움직임을 선호했습니다. 이러한 선호는 J-망막 신경절 세포의 그것에 상응하는 것입니다.<ref name=\"kim2008\" /> Kim과 동료들은 방향 선택성 소구 세포의 수용장은 J-망막 신경절 세포로부터 만들어진 것이라고 제안했습니다. 이 주제에 대해서는 진행될 연구가 남아있습니다.

망막 신경절 세포와 방향 선택성 소구 세포간의 관계

J-망막 신경절 세포의 소구 말단(JAM-B 세포가 대부분)은 Drager와 Hubel의 생쥐 상구에 존재하는 신경세포의 수용장을 밝혀낸 연구에 비추어볼 때 아주 흥미롭습니다. 그들이 연구한 방향 선택성 신경세포의 거의 모두(38개 중 35)가 시각장에서 상방 움직임을 선호했습니다. 이러한 선호는 J-망막 신경절 세포의 그것에 상응하는 것입니다.Cite error: Invalid <ref> tag; refs with no content must have a name Kim과 동료들은 방향 선택성 소구 세포의 수용장은 J-망막 신경절 세포로부터 만들어진 것이라고 제안했습니다. 이 주제에 대해서는 진행될 연구가 남아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