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Translations:Ganglion Cell/14/ko"

From Eyewire
Jump to: navigation, search
(Created page with "1940년대에 Polyak(1941)이 영장류 망막의 Golgi체를 담고 있는 신경세포에 대한 대단한 묘사를 하였으며 그것을 통해 신경절 세포 종류의...")
 
(No difference)

Latest revision as of 19:05, 30 December 2015

Information about message (contribute)
This message has no documentation. If you know where or how this message is used, you can help other translators by adding documentation to this message.
Message definition (Ganglion Cell)
In the forties, Polyak (1941) produced a phenomenal description of the Golgi-impregnated neurons of the primate retina and therein he gave us a good classification of ganglion cell types. So by the sixties we had a fairly extensive descrip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ganglion cells in mammalian and monkey retinas but all the data was based on vertical sections of stained ganglion cells (Cajal, 1892; Polyak, 1941; Brown and Major, 1966; Leicester and Stone, 1967; Boycott and Dowling, 1969; Shkolnik-Yarros, 1971). The advent of a technique to perform Golgi staining on wholemount retinas allowed a reinterpretation of many of the earlier classifications, because now we could see the entire dendritic tree of a ganglion cell.
Translation1940년대에 Polyak(1941)이 영장류 망막의 Golgi체를 담고 있는 신경세포에 대한 대단한 묘사를 하였으며 그것을 통해 신경절 세포 종류의 분류를 제시했습니다. 그래서 그 후 60년대에 이르러서는 포유류와 원숭이 망막의 신경절 세포에 대한 꽤 자세한 묘사와 분류가 되어있었으나 모든 자료는 염색된 신경절 세포의 수직 절편에 기반한 것들이었습니다(Cajal, 1892; Polyak, 1941; Brown and Major, 1966; Leicester and Stone, 1967; Boycott and Dowling, 1969; Shkolnik-Yarros, 1971). 망막 전체에 대한 Golgi 염색을 위한 기술의 발전은 초기 분류의 재해석을 가능하게 해주었는데 왜냐하면 이제 우리는 신경절 세포의 전체적인 수지돌기 나무를 볼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1940년대에 Polyak(1941)이 영장류 망막의 Golgi체를 담고 있는 신경세포에 대한 대단한 묘사를 하였으며 그것을 통해 신경절 세포 종류의 분류를 제시했습니다. 그래서 그 후 60년대에 이르러서는 포유류와 원숭이 망막의 신경절 세포에 대한 꽤 자세한 묘사와 분류가 되어있었으나 모든 자료는 염색된 신경절 세포의 수직 절편에 기반한 것들이었습니다(Cajal, 1892; Polyak, 1941; Brown and Major, 1966; Leicester and Stone, 1967; Boycott and Dowling, 1969; Shkolnik-Yarros, 1971). 망막 전체에 대한 Golgi 염색을 위한 기술의 발전은 초기 분류의 재해석을 가능하게 해주었는데 왜냐하면 이제 우리는 신경절 세포의 전체적인 수지돌기 나무를 볼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