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ions:Amacrine Cell/15/ko

From Eyewire
Jump to: navigation, search

연결(Connections)

기본적인 수준에서, 망막 내의 “수직적” 정보의 흐름은 광수용체로부터 (입력) 양극성 세포로, 양극성 세포에서 신경절 세포로 (출력) 이동합니다. 일반적으로 무축삭 세포는 이러한 회로에 대해, 보통 양극성 세포에서 입력신호를 받으며, 또한 양극성 세포와 신경절 세포 모두와 시냅스를 형성하며, 양극성 세포에서 신경절 세포로 이동하는 수준에서 “수평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전형적인 신경세포는 세포체, 수상돌기(수지상 가지), 및 축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신경세포는 전형적으로 가지돌리로 입력신호를 받으며 축삭을 통해 정보 출력을 하게 됩니다. 성화상 무축삭 세포를 포함하는 많은 종류의 무축삭 세포들은 이러한 구조적, 기능적 양상을 따르지 않습니다. 이들 세포들 중 다수는 입, 출력 연결을 수상돌기와 축삭간의 구분을 보이지 않는 동일한 신경 돌기를 따라 형성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지상 세포”라고 불립니다. 성화상 무축삭 세포는 축삭을 갖지 않으며 수상돌기를 통해 정보를 받고 전달하는 종류의 하나입니다.[8] 아래의 그림에서 세 가지 다른 종류의 무축삭 세포간의 비교를 보실 수 있습니다.[9]

다양한 종류의 무축삭 세포에 의해 이루어지는 연결의 모식도. 오른쪽에 보이는 성화상 무축삭 세포는 Type a 무축삭 세포입니다. 축삭과 수지상 가지에 출력이 있음에 주의하세요.[9]

파일:Circuits.jpg

a) 기본 회로 가장 기본적인 수준에서, 성화상 무축삭 세포는 양극성 세포로부터 입력을 받아 신경절 세포로 정보를 출력하게 됩니다. 또한 수지상 가지간에 상당한 겹칩이 있는 성화상 무축삭 세포들 간에 (억제성) 연결이 있습니다. 이런 회로는 ON 및 OFF(types b 와 a) 성화상 무축삭 세포에서도 똑같이 나타납니다. 여기에 ON 성화상 무축삭 세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가 있습니다. ON 양극성 세포는 ON 성화상 무축삭 세포에 대해 흥분성 시냅스를 형성합니다. 수상돌기의 원거리 부분에서, ON 성화상 무축삭 세포는 방향 선택적 신경절 세포에 억제성 시냅스를 형성합니다. 이 회로의 기능에 대한 완전한 설명은 생리 항목을 참조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