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The Eye and Retina/ko"

From Eyewire
Jump to: navigation, search
 
(44 intermediate revisions by 2 users not shown)
Line 10: Line 10:
 
각막은 여섯 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 상피세포, 보우만층, 기질, 두아층, 데스메막, 그리고 각막 내피세포층입니다(The epithelium, bowman's layer, stroma, dua's layer, Descemet membrane and corneal endothelium). <ref>Binder, P. S. et al. (July 1991) [http://www.iovs.org/content/32/8/2234.full.pdf+html High-voltage electron microscopy of normal human cornea]. Invest. Ophthalmol. Vis. Sci. <strong>32</strong> (8): 2234-43</ref>
 
각막은 여섯 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 상피세포, 보우만층, 기질, 두아층, 데스메막, 그리고 각막 내피세포층입니다(The epithelium, bowman's layer, stroma, dua's layer, Descemet membrane and corneal endothelium). <ref>Binder, P. S. et al. (July 1991) [http://www.iovs.org/content/32/8/2234.full.pdf+html High-voltage electron microscopy of normal human cornea]. Invest. Ophthalmol. Vis. Sci. <strong>32</strong> (8): 2234-43</ref>
  
<p>A sixth possible corneal layer was reported in 2013, with the suggested name Dua's Layer<ref>Dua, Harminder S. et al. (September 2013) Human Corneal Anatomy Redefined: A Novel Pre-Descemet's Layer (Dua's Layer) Ophthalmology <strong>120</strong> (9): 1778-1785 doi: [http://dx.doi.org/10.1016/j.ophtha.2013.01.018 10.1016/j.ophtha.2013.01.018]</ref>, but other researchers have met the claim "with incredulity" and argued that it is not a new layer but part of the stroma,<ref name=McKee01a>McKee, Hamish D. et al. (May 2014, [http://www.aaojournal.org/article/S0161-6420(13)01227-X/abstract published online February 2014]) Re: Dua et al.: Human corneal anatomy redefined: a novel pre-Descemet layer (Dua's layer) (Ophthalmology 2013;120:1778–85) Ophthalmology <strong>121</strong> (5): e24-e24 doi: [http://dx.doi.org/10.1016/j.ophtha.2013.12.021 10.1016/j.ophtha.2013.12.021] "Abstract: We read the recent claim of the discovery of a new corneal layer by Dua et al with incredulity.1 The existence of pre-Descemet stromal tissue remaining after pneumodissection is well known. Their further investigation of this pre-Descemet stroma confirms that it is stroma, and not a new corneal layer."</ref> and have also criticized the choice of the name Dua's Layer.<ref name=McKee02a>McKee, Hamish D. et al. [http://www.anz-cornea-society.org/styled-3/styled-6/files/anz-cornea-society-2014-abstracts.pdf ANZ Cornea Meeting 2014 Abstracts], page 3 "Dua’s layer” is just previously described pre-Descemet stroma ... Medical eponyms have traditionally been created by one’s peers to commemorate the importance of a person’s contribution and findings. Dua has taken an interesting step of creating his own eponym, even before his claims have stood the test of further investigation and scrutiny, and despite current trends to avoid medical eponyms (and when they are used, to use the nonpossessive form). If one prefers a medical eponym to describe the pre-Descemet stroma that remains after pneumodissection, then ‘the Feizi stroma’ would be more appropriate."</ref><ref name=Steinert01a>Steinert, Roger (Medscape, 01 October 2014) [http://www.medscape.com/viewarticle/811628 A Controversy in Cornea] "... the purported discovery of a new layer in the cornea ... We all know that today it is quite frowned upon to use names of scientists to describe tissues. It's much more appropriate and helpful to use anatomic terms or physical terms that make sense."</ref></p>
+
상피세포층은 나머지 각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보우만 층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ref>Dua, Harminder S. et al. (September 2013) Human Corneal Anatomy Redefined: A Novel Pre-Descemet's Layer (Dua's Layer) Ophthalmology <strong>120</strong> (9): 1778-1785 doi: [http://dx.doi.org/10.1016/j.ophtha.2013.01.018 10.1016/j.ophtha.2013.01.018]</ref>, 기질층은 각막 두께의 90% 가량을 차지하며 투명합니다. 두아 층은 각막의 층들 중 가장 최근에 발견된 층으로 2013년도에 개별적인 층일 가능성이 보고 되었으며,<ref name=McKee01a>McKee, Hamish D. et al. (May 2014, [http://www.aaojournal.org/article/S0161-6420(13)01227-X/abstract published online February 2014]) Re: Dua et al.: Human corneal anatomy redefined: a novel pre-Descemet layer (Dua's layer) (Ophthalmology 2013;120:1778–85) Ophthalmology <strong>121</strong> (5): e24-e24 doi: [http://dx.doi.org/10.1016/j.ophtha.2013.12.021 10.1016/j.ophtha.2013.12.021] \"Abstract: We read the recent claim of the discovery of a new corneal layer by Dua et al with incredulity.1 The existence of pre-Descemet stromal tissue remaining after pneumodissection is well known. Their further investigation of this pre-Descemet stroma confirms that it is stroma, and not a new corneal layer.\"</ref> 아직 그 기능은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데스메막과 내피세포 층은 각막과 눈의 나머지 부분들 간의 체액과 영영분 흐름을 조절하는 기능을 합니다.<ref name=McKee02a>McKee, Hamish D. et al. [http://www.anz-cornea-society.org/styled-3/styled-6/files/anz-cornea-society-2014-abstracts.pdf ANZ Cornea Meeting 2014 Abstracts], page 3 \"Dua’s layer” is just previously described pre-Descemet stroma ... Medical eponyms have traditionally been created by one’s peers to commemorate the importance of a person’s contribution and findings. Dua has taken an interesting step of creating his own eponym, even before his claims have stood the test of further investigation and scrutiny, and despite current trends to avoid medical eponyms (and when they are used, to use the nonpossessive form). If one prefers a medical eponym to describe the pre-Descemet stroma that remains after pneumodissection, then ‘the Feizi stroma’ would be more appropriate.\"</ref><ref name=Steinert01a>Steinert, Roger (Medscape, 01 October 2014) [http://www.medscape.com/viewarticle/811628 A Controversy in Cornea] \"... the purported discovery of a new layer in the cornea ... We all know that today it is quite frowned upon to use names of scientists to describe tissues. It's much more appropriate and helpful to use anatomic terms or physical terms that make sense.\"</ref>
  
==== The Iris and the Pupil====
+
====홍채와 동공(The Iris and the Pupil)====
[[File:Eye dilate.gif|right|300px]]
+
[[파일:300px-Eye_dilate.gif]]
The iris is the part of the eye located between the cornea and the lens. In the center of the iris is the pupil, which is an aperture that allows the light to enter the eye. The iris' muscles constrict the pupil when exposed to bright light, and dilate it when exposed to dim light. Melanin levels are one of the most prominent factors responsible for the color of the iris. When melanin is relatively absent, the iris will likely be blue or green, while when there is a lot of melanin, the iris will be more likely to appear brown or black. <ref>"iris." Encyclopaedia Britannica. Encyclopaedia Britannica Online Academic Edition.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4. Web. 16 Jun. 2014. http://www.britannica.com/EBchecked/topic/294031/iris</ref>
+
홍채는 각막과 렌즈 사이에 위치한 눈의 일부분 입니다. 홍채의 중심에는 빛이 눈으로 들어올 수 있게 해주는 조리개인 동공이 있습니다. 홍채의 근육은 밝은 빛에 노출될 때 동공을 축소시키며 어두운 곳에서는 동공을 확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멜라닌 색소의 정도가 홍채의 색깔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멜라닌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홍채는 푸르거나 초록빛을 띠며 멜라닌이 많은 경우 홍채는 갈색 또는 검은색을 띄게 됩니다.<ref>\"iris.\" Encyclopaedia Britannica. Encyclopaedia Britannica Online Academic Edition.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4. Web. 16 Jun. 2014. http://www.britannica.com/EBchecked/topic/294031/iris</ref>
  
==== The Lens ====
+
====렌즈(The Lens)====
The lens is a structure behind the iris that focuses light onto the retina. The adult lens contains no blood vessels and is nourished by the aqueous humour, but during development the growing lens has nutrients supplied by the hyaloid artery, which usually regresses before birth. The ciliary muscles change the shape of the lens to focus light which passes through onto the retina allowing the eye to focus on objects that are at varying distances.<ref>"lens." Encyclopaedia Britannica. Encyclopaedia Britannica Online Academic Edition.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4. Web. 16 Jun. 2014. http://www.britannica.com/EBchecked/topic/336040/lens</ref>
+
렌즈는 홍채 뒤에 있는 구조물로 빛을 모아 망막에 맺히게 합니다. 성인의 렌즈는 혈관이 없으며 수양액(aqueous humor)로부터 영양분을 받습니다. 그러나 발생단계의 자라나는 렌즈는, 보통 태어나기 전에 퇴행하는, 유리체 동맥(hyaloid artery)으로부터 영양을 공급받습니다. 모양체근이 렌즈의 모양을 바꾸어 빛이 렌즈를 통과해 망막에 맺힐 수 있도록 해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눈이 다양한 거리에 있는 물체에 초점을 맞힐 수 있게 됩니다. <ref>\"lens.\" Encyclopaedia Britannica. Encyclopaedia Britannica Online Academic Edition.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4. Web. 16 Jun. 2014. http://www.britannica.com/EBchecked/topic/336040/lens</ref>
  
==== The Vitreous Humour ====
+
====유리액(The Vitreous Humour)====
The vitreous humour is a thick, gel-like fluid that maintains the shape of the eye, by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lens and the retina and optic disk. It makes up about 80% of the volume of the eye, and is composed of about 98% water.<ref>"human eye." Encyclopaedia Britannica. Encyclopaedia Britannica Online Academic Edition.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4. Web. 16 Jun. 2014. http://www.britannica.com/EBchecked/topic/1688997/human-eye/64878/The-transparent-media?anchor=ref531532</ref>
+
유리액은 걸쭉한, 젤 같은 액체로 렌즈와 각막 그리고 시신경 원판 사이를 채워 눈의 형태를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유리액은 눈 부피의 약 80%를 차지하며 98%는 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ref>\"human eye.\" Encyclopaedia Britannica. Encyclopaedia Britannica Online Academic Edition.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4. Web. 16 Jun. 2014. http://www.britannica.com/EBchecked/topic/1688997/human-eye/64878/The-transparent-media?anchor=ref531532</ref>
  
==== Sclera ====
+
====공막(Sclera)====
The sclera is more commonly known as the white of the eye. It is a white fibrous layer that becomes transparent at anterior part of the eye and forms the cornea. The human eye is repetitively rare in that the Iris is small enough that its position can be clearly seen against the sclera, allowing someone to tell where another individual is looking, which has developed into a form of non-verbal communication.
+
공막은 흔히 눈의 흰자위로 알려져 있습니다. 공막은 흰색의 섬유질 층으로 눈의 앞쪽 부위에서는 투명하게 되어 각막을 형성합니다. 인간의 눈은 홍채가 작아 그 위치가 공막을 배경으로 할 때 어디에 있는지가 명확하다는 점에서 드문 경우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다른 사람이 어디를 보고 있는지를 구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이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한 형태로 발달하게 되었습니다.
  
== Anatomy of the human retina ==
+
==인간 망막의 해부학적 구조(Anatomy of the human retina)==
[[File:Cells of the Retina.jpg|thumb|right|400px|The various types of neurons in the mammalian retina.<ref name="Masland2001">Masland, R. The fundamental plan of the retina (2001). Nature Neuroscience <strong>4</strong> (9): 877-886</ref>]]
+
[[파일:Cells of the Retina.jpg|thumb|right|400px|The various types of neurons in the mammalian retina.<ref name=\"Masland2001\">Masland, R. The fundamental plan of the retina (2001). Nature Neuroscience <strong>4</strong> (9): 877-886</ref>]]
The retina is a light-sensitive layer of tissue that lines the rear surface of the eye. Light from one's visual field passes through the eye and projects onto the retina to create an image. Subsequently, retinal neurons detect this image, which initiates a cascade of biochemical and electrical processing that is sent through the optic nerve and eventually to the visual cortex of the brain. These biochemical and electrical signals provide the basis for vision.
+
망막은 빛에 민감한 조직의 층이며 눈의 뒤쪽 표면을 덮고 있습니다. 시야에서 들어오는 빛은 눈을 통과하여 망막에 맺혀 영상을 만들어 냅니다. 그에 따라 망막에 존재하는 신경세포들이 이 영상을 탐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일련의 생화학적, 전기적 반응이 시작되며 시신경을 통해 결국에는 두뇌에 있는 시각 피질 부위로 전달 됩니다. 이러한 생화학적, 전기적 신호들은 시각의 근간을 제공해 줍니다.
  
 
<!--[[File:NormalRetina.gif | thumb | right | 300px | A diagram showing the locations of the Optic cup and disc, Macula, Fovea, veins, and arteries. <ref name="Kolb"></ref>]]
 
<!--[[File:NormalRetina.gif | thumb | right | 300px | A diagram showing the locations of the Optic cup and disc, Macula, Fovea, veins, and arteries. <ref name="Kolb"></ref>]]
Line 37: Line 37:
 
==== 10 histological layers of the retina ====
 
==== 10 histological layers of the retina ====
 
-->
 
-->
=== Cells of the Retina ===
+
===망막의 세포(Cells of the Retina)===
====[[Photoreceptors]]====
+
====[[광수용체들(Photoreceptors)]]====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Line 45: Line 45:
 
</gallery>
 
</gallery>
  
Photoreceptors consist of two broad classes of cells: rods and cones. Rods are concentrated at the outer edges of the retina and are used in peripheral vision. They are more sensitive to light than cones, and are almost entirely responsible for night vision (also called scotopic vision). Cones are more concentrated towards the center of the retina, and are the only photoreceptor type found in the center of the retina (the fovea). Cones are responsible for color vision (also called photopic vision). Mammals usually have either two or three different types of cone cells, because in order to specify the wavelength of a stimulus (i.e., its color), the outputs of at least two cone types must be compared.
+
광수용체는 크게 두 가지 종류의 세포, 즉 간상세포와 원추세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간상세포는 망막의 바깥 쪽 가장자리에 집중되어 있으며 주변 시야에 주로 사용됩니다. 간상세포는 원추세포에 비해 빛에 보다 더 민감하며 (암소시라고도 하는) 야간시력의 거의 전부를 책임지고 있습니다. 원추세포는 망막의 중앙 쪽으로 집중되어 있으며 망막의 중심부위(중심와) 에서 발견되는 유일한 광수용체입니다. 원추세포는 (명소시라고도 하는) 색각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포유류는 보통 둘 또는 세 가지 다른 종류의 원추세포를 가지고 있는 데 이는 자극(예를 들면 색상)의 파장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 가지의 원추세포로부터의 출력 정보가 반드시 비교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These photoreceptor cells contain proteins called opsins in their outer segments (really just modified cillia) which bind a chromophore derived from Vitamin A, allowing these cells to convert absorbed light into an electrical impulse. Different wavelengths of light can be detected by varying the structure of the opsin protein expressed in the cell. <ref>Plachetzki, D.; Fong, C.; Oakley, T. (2010). "The evolution of phototransduction from an ancestral cyclic nucleotide gated pathway". Proceedings. Biological sciences / the Royal Society 277 (1690): 1963–1969. doi:10.1098/rspb.2009.1797. PMC 2880087. PMID 20219739.</ref>
+
  
====[[Horizontal Cell]]====
+
이들 광수용체 세포들은 외절(실제로는 단지 변형된 섬모) 부위에 옵신(opsin)이라는 단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옵신이 비타민 A에서 파생된 발색단(chromophore)과 결합해 이들 세포가 흡수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게 해줍니다. 빛의 서로 다른 파장은 세포에 발현하는 옵신 단백질의 구조를 변형시켜 감지할 수 있습니다.<ref>Plachetzki, D.; Fong, C.; Oakley, T. (2010). \"The evolution of phototransduction from an ancestral cyclic nucleotide gated pathway\". Proceedings. Biological sciences / the Royal Society 277 (1690): 1963–1969. doi:10.1098/rspb.2009.1797. PMC 2880087. PMID 20219739.</ref>
  
[[File:Horizontal_Cells.png|300 px|thumb|center|Horizontal cells in the retina]]
+
====수평세포(Horizontal Cell)====
  
Horizontal cells are thought to exist in two types, each with a distinct shape, which together provide feedback to all photoreceptor cells. Despite the number of cells with which they form [[Synapse|synapses]], horizontal cells represent a relatively small population of the retina’s cells (less than 5% of cells of the inner nuclear layer). The specific reason for the existence of the two classes of horizontal cells is not yet known; it potentially involves detection of color differences in the red-green system.
+
[[File:Horizontal_Cells.png|300 px|thumb|center|망막의 수평세포]]
  
====[[Amacrine Cell]]====
+
수평세포는 두 종류가 존재하는 것을 생각되며 각각의 세포는 구별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두 종류 모두 모든 광수용체 세포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함께 시냅스를 이루는 세포들의 수와는 상관없이 수평세포들은 망막 세포의 상대적으로 적은 부분만 차지하고 있습니다(내핵층 세포의 5% 미만). 두 종류의 수평세포가 존재하는 정확한 이유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적-록계에서 색깔을 구분하는 데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
====[[Amacrine_Cell/ko|무축삭 세포(Amacrine Cell)]]====
  
 
[[File:StarburstMarathonCell.png|300 px|thumb|center|A [[Starburst Amacrine Cell | starburst amacrine cell]] reconstructed in EyeWire]]
 
[[File:StarburstMarathonCell.png|300 px|thumb|center|A [[Starburst Amacrine Cell | starburst amacrine cell]] reconstructed in EyeWire]]
 +
아이와이어에서 재구성된 성화상 무축삭 세포
  
Amacrine cells appear to allow for ganglion cells to send temporally correlated signals to the brain: input to two separate ganglion cells from the same amacrine cell will tend to make those ganglion cells send signals at the same time. The amacrine cells whose behaviors are well understood have been shown to have very specific functions.
+
무축삭 세포는 신경절 세포가 시간적으로 연관된 신호들을 두뇌로 보내도록 해주는 것으로 보입니다: 같은 무축삭 세포로부터 나온 신호가 두 개의 다른 신경절 세포들에 대한 입력 신호로 작용할 때 이들 신경절 세포들은 동시에 신호를 내보내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행동이 잘 알려진 무축삭 세포들은 매우 특정한 기능들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ipolar Cell]]====
+
====[[Bipolar_Cell/ko|양극성 세포(Bipolar Cell)]]====
  
 
[[File:114BPCells.jpg|300 px|thumb|center|A reconstruction of 114 rod bipolar nerve cells from a piece of mouse retina. The dense bundles (top) are dendrites, and the sparser processes below are [[Axon|axons]] (credit: MPI for Medical Research).]]
 
[[File:114BPCells.jpg|300 px|thumb|center|A reconstruction of 114 rod bipolar nerve cells from a piece of mouse retina. The dense bundles (top) are dendrites, and the sparser processes below are [[Axon|axons]] (credit: MPI for Medical Research).]]
 +
생쥐 망막 조각에서 재구성된 114개의 간상 양극성 신경 세포. 촘촘한 꾸러미(윗 부분) 부분은 수상돌기이며 아래의 듬성듬성한 돌출 부분은 축삭돌기입니다.(사진 제공: 막스플랑크 의학연구소).
  
Bipolar cells connect photoreceptors and ganglion cells. Their function is to transmit signals from photoreceptors to ganglion cell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Bipolar cells get their name from their shape they have a central cell body from which two different sets of neurites ([[Axon | axons]] or [[Dendrite | dendrites]]) extend. They can make connections with either rods or cones (but not both simultaneously), and they also form connections with horizontal cells. Unlike most neurons, which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using [[Axon#Action_Potential|action potentials]], bipolar cells “talk” with other cells using graded potentials.
+
양극성 세포들은 광수용체와 신경절 세포를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들의 역할은 광수용체로부터 신경절 세포로, 직접적이던 간접적이던, 신호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양극성 세포는 그 모양에서 이름을 따왔습니다 이들 세포는 중심 세포체가 있으며 거기서 두 가지 다른 종류의 신경돌기(축삭 또는 수상돌기)가 뻗어 나옵니다. 이들 세포는 간상 또는 원추 세포와 연결을 형성할 수 있으며(동시에는 불가능), 이들은 또한 수평세포와도 연결을 형성합니다. 활동전위를 이용해 서로 의사소통하는 대다수의 신경세포와는 달리 양극성 세포는 차등전위를 이용해 다른 세포와 “대화”합니다.
  
====[[Ganglion Cell]]====
+
====[[Ganglion_Cell/ko|신경절 세포(Ganglion Cell)]]====
  
 
[[File:Ganglion Cell.png|300 px|thumb|center|A ganglion cell reconstructed in EyeWire]]
 
[[File:Ganglion Cell.png|300 px|thumb|center|A ganglion cell reconstructed in EyeWire]]
 +
아이와이어에서 재구성된 신경절 세포
  
Ganglion cells are the output cells of the retina. Their [[Axon|axons]] leave the eye and travel through the optic nerve to the brain, sending the processed visual stimulus to the lateral geniculate nucleus, forming [[Synapse|synapses]] onto neurons that project to the primary visual cortex, where the stimulus can be further interpreted.
+
신경절 세포들은 망막의 신호 출력 세포들입니다. 이들 세포의 축삭은 눈을 떠나 시신경을 지나서 두뇌로 이어지며, 처리된 시각적 자극들을 외측 슬상핵(lateral geniculate nucleus)으로 보내고, 자극이 보다 더 해설될 수 있는 부위인 일차 시각 피질로 뻗어 있는 신경세포와 시냅스를 형성합니다.
  
===Wiring it all together===
+
=== 다 함께 연결해 봅시다.===
[[File:Simple Diagram of the Organization of the Retina.jpeg|thumb|left|300px|<ref name="Kolb">Kolb, Helga, Nelson, Ralph, Fernandez, Eduardo, Jones, Bryan, The Organization of the Retina and Visual System, Simple Anatomy of the Retina. http://webvision.med.utah.edu/book/part-i-foundations/simple-anatomy-of-the-retina/</ref>]]
+
[[파일:300px-Simple_Diagram_of_the_Organization_of_the_Retina.jpeg|thumb|left|300px|<ref name=\"Kolb\">Kolb, Helga, Nelson, Ralph, Fernandez, Eduardo, Jones, Bryan, The Organization of the Retina and Visual System, Simple Anatomy of the Retina. http://webvision.med.utah.edu/book/part-i-foundations/simple-anatomy-of-the-retina/</ref>]]
Understanding the functions of the individual cells is the first step to understanding vision, but it does not begin to explain the complex processes that occur in our eyes providing us with the sense. Today, scientists are studying [[Retinal Connectomics| retinal connectomics]] to better understand vision. But, mapping the full [[Connectomics: An Introduction |connectome]] is too difficult a process for the technology currently available, instead, scientists map partial connectomes.
+
개별적 세포의 기능을 이해하는 것이 시각을 이해하는 첫 걸음이지만 우리 눈에서 일어난 복잡한 과정들을 센스있게 설명해 주지는 못합니다. 오늘날 과학자들은 시각을 좀더 이해하기 위해서 망막의 커넥톰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완벽하게 커넥톰을 밝혀내는 것은 현재의 기술로는 매우 어려운 일이며, 대신 과학자들은 부분적 커넥톰을 밝혀내고 있습니다.
  
By looking at the [[Synapse | connections]] between the neurons, scientists can understand how an input to one neuron can affect one that's connected to it. Scientists look at connections between multiple neurons, treating them as a system, and try to understand how an input affects the output. While scientists study systems of just a few neurons at a time, there is a basic understanding of how the retina processes information as a whole.<ref name="Masland2001" />
+
신경세포들 간의 연결을 들어다보면 과학자들은 하나의 신경세포에 대한 입력 신호가 연결되어 있는 다른 세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다수의 신경세포들 간의 연결들을 마치 하나의 시스템처럼 취급하며 들여다보고 어떻게 하나의 입력 신호가 출력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려 애쓰고 있습니다. 과학자들이 한번에 단지 몇몇 신경세포들로 구성된 시스템을 연구하는 반면, 망막이 어떻게 정보를 하나로써 처리하는지에 대한 기본적 이해가 존재합니다.<ref name=\"Masland2001\" />
  
====A simplification of the process====
+
====과정의 단순화====
To explain the function of the retina in the most basic way, four of the major types of retinal neurons will be considered, the photoreceptors, bipolar cells, amacrine cells, and ganglion cells. This wiki page will continue to expand the model to include more factors from the retinal neurons.
+
가장 기본적인 방식으로 망막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서 광수용체 세포, 양극성 세포, 무축삭 세포, 신경절 세포, 이렇게 네 종류의 망막 신경세포들이 고려될 것입니다. 본 위키 페이지는 보다 많은 망막 신경세포로부터 요인들을 포함시킬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모델을 확장시킬 것입니다.
  
The first step to processing visual information is the collection of photons by the photoreceptors. The two types of photoreceptors, rods and cones, while serving different purposes, are similar in function.
+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첫 번째 단계는 광수용체에 의한 광자의 수집입니다. 두 종류의 광수용체, 간상세포와 원추세포는 서로 다른 목적을 갖는 반면 그 기능에서는 유사합니다.
  
In general, the rods and cones form synapses with the bipolar cells. While the cones can often be the only cone to form a synapse with a bipolar cell, many rods tend to form synapses with the same bipolar cell. Because multiple rods share a single bipolar cell, the sharpness of the image is traded off for sensitivity of the signal.  
+
일반적으로 간상세포와 원추세포는 양극성 세포와 시냅스를 형성하게 됩니다. 원추세포의 경우 하나의 원추세포가 하나의 양극성 세포와 시냅스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지만 간상세포의 경우에는 다수의 간상세포가 동일한 하나의 양극성 세포와 시냅스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수의 간상세포가 하나의 양극성 세포를 공유하기 때문에 영상의 선명함은 신호의 민감도와 맞바꿔집니다.  
  
The bipolar cells then form synapses with amacrine cells. The amacrine cells provide signal feedback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ganglion cells.
+
양극성 세포들은 다음으로 무축삭 세포들과 시냅스를 형성합니다. 무축삭 세포들은 신호 피드백을 제공하며 신호를 신경절 세포에 전달합니다.
  
The ganglion cells are the final step of the process in the processing of light in the retina. It is with the ganglion cells that the signals from the cones are compared to process what color something is. The ganglion cells transfer the signal out of the retina to the brain.<ref name="Masland2001" />
+
신경절 세포들은 망막에서 빛을 처리하는 과정의 맨 마지막 단계에 해당합니다. 어떤 것이 무슨 색인지를 처리하기 위해 원추세포로부터의 신호들이 비교되는 것이 바로 신경절 세포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신경절 세포들은 망막에서 두뇌로 신호를 전달합니다.<ref name=\"Masland2001\" />
  
====Horizontal Cell Feedback====
+
====수평세포 피드백(Horizontal Cell Feedback)====
While horizontal cells represent a small portion of the retina, they do form many synapses with the photoreceptors. One of the leading theories on the function of horizontal cells is to increase the contrast between the light and dark regions. The horizontal cells will inhibit the signal of an excited cone and the cones surrounding it. While this dampens the signal, it also eliminates the signal from surrounding cones that aren't excited, so only the ganglion cells associated with the excited cone will be excited, rather than all the ganglion cells of the cone and its neighbors.
+
수평세포가 망막의 작은 부분을 대표하는 세포이지만, 광수용체 세포와 다수의 시냅스를 형성합니다. 수평세포의 기능에 대한 유력한 학설 중 하나에 따르면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대조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합니다. 수평세포들은 흥분된 원추세포의 신호와 주위를 둘러싼 원추세포들을 억제할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신호가 약해지는 반면 흥분되지 않은 상태인 주변의 원추세포로부터의 신호 역시 제거하게 되어, 원추세포 및 그 주변 세포와 연관된 모든 신경절 세포들이 흥분되는 것이 아니라 흥분된 상태의 원추세포와 연관된 신경절 세포들만이 흥분되게 됩니다.
  
The rods receive feedback from specialized horizontal cells, which also give feedback to cones, in such a way that the two feedback systems are kept separate.<ref name="Masland2001" />
+
간상세포는 특화된 수평세포들로부터 피드백을 받으며 이 특화된 수평세포들은 원추세포들에도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그 방법에 있어 두 개의 피드백 시스템이 서로 분리된 채 유지됩니다.<ref name=\"Masland2001\" />
  
====Amacrine Cell Feedback====
+
====무축삭 세포 피드백(Amacrine Cell Feedback)====  
While most cells in the retina are flexible in their function, amacrine cells are highly specialized to do specific tasks.
+
  
Scientists have proposed that amacrine cells make ganglion cells fire in correlation with one another, which could increase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can be transferred by the optic nerve.<ref name="Masland2001" />
+
망막의 세포 대부분이 기능에 유연성을 보이는 반면, 무축삭 세포들은 특별한 일을 하도록 매우 특화되어 있습니다.
==Current Research==
+
과학자들이 제안한 바에 따르면 무축삭 세포들은 신경절 세포들이 서로 연관되어 신호를 발사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시신경을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고 합니다.<ref name=\"Masland2001\" />
  
According to many neuroscience textbooks, retinal ganglion cells can be categorized into two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a property that is known as their receptive field. Neurons with receptive fields have been found in the auditory (hearing) system, the somatosensory (feeling) system and the visual system, and the receptive field of a particular neuron can generally be defined as a region of space in which the presence of a stimulus will alter the firing of that neuron.
+
==현재 연구 ==
 +
다수 신경과학 교과서에 따르면, 망막의 신경절 세포들은 그들의 수용장(receptive field)이라고 알려진 성질에 따라 두 가지 다른 종류로 나눌 수 있다고 합니다. 수용장을 가진 신경세포는 청각 시스템, 체성감각 시스템 및 시각 시스템에서 발견된 바 있으며 특정한 신경세포의 수용장은 자극의 발현이 해당 신경세포의 신호 발사를 변화시키는 공간 지역이라고 일반적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In the visual system, a receptive field of a particular retinal ganglion cell is defined as the region of the photoreceptor cell layer in the retina that alters the firing (signal-sending) of that ganglion cell when it is stimulated with light. According to textbook accounts, retinal ganglion cells either have ON-center, OFF-surround or OFF-center, ON-surround receptive field. An ON-center, OFF-surround ganglion cell will send a signal when the center of its receptive field detects light, but will be inhibited from firing when the area surrounding the center (the surround) of its receptive field detects light; OFF-center, ON-surround cells have the exact opposite response to light stimulation.
+
시각 시스템에서 특정 망막 신경절 세포의 수용장은, 망막에 있는 광수용체 세포층의 부위로서, 빛에 의해 자극이 되는 경우 신경절 세포의 신호 발사를 변화시키는 부위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교과서의 언급에 따르면 망막의 신경절 세포들은 ON-중심, OFF-주변 또는 OFF-중심, ON-주변 수용장을 갖는다고 합니다. ON-중심, OFF-주변 신경절 세포는 수용장의 중심 부위가 빛을 탐지하면 신호를 보내게 되며, 수용장의 중심을 둘러싼 주변부위가 빛을 탐지하는 경우 신호 발사가 억제되게 될 것입니다; OFF-중심, ON-주변 세포는 빛자극에 대해 정확히 반대로 반응하게 됩니다.
  
 
[[File:Receptive_field.png|center|thumb|300px|How an ON center ganglion cell responds differently than an OFF center ganglion cell<ref name="rfwiki">http://en.wikipedia.org/wiki/Receptive_field</ref>]]
 
[[File:Receptive_field.png|center|thumb|300px|How an ON center ganglion cell responds differently than an OFF center ganglion cell<ref name="rfwiki">http://en.wikipedia.org/wiki/Receptive_field</ref>]]
 +
On 중심 신경절 세포가 OFF 중심 신경절 세포와 어떻게 다르게 반응하는가
  
Within the last decade, it has become increasingly clear that the notion that only two types of receptive fields exist in photoreceptors is a gross oversimplification. Scientists now know that ganglion cells come in at least 15 or 20 types, each of which has a distinct shape and physiological function, and which correspondingly has connections with different types of cells in the rest of the retina.
+
지난 십 년간, 광수용체에 있어 오직 두 종류의 수용장만이 존재한다는 생각은 너무 지나치게 단순화한 것이었다는 것이 점차 명확해져 왔습니다. 과학자들은 이제 각각 구분되는 형태와 생리적 기능을 가진 신경절 세포들이 적어도 15 내지 20종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그에 따라 망막의 나머지 부위에 있는 다른 종류의 세포들과 연결을 형성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At the Max Planck Institute (MPI) for Medical Research in Heidelberg, Germany, a dataset was obtained from a mouse retina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diversity in retinal ganglion cells by applying two imaging techniques one after the other (two-photon microscopy (2P) and [[Serial block-fac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BFSEM)|serial block-fac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BFSEM)]]), scientists have been able to obtain images that show both neural activity and connectivity in retinal ganglion cells. However, the images are very difficult to analyze and interpret, and doing so is a very time-consuming process. Computer scientists at MIT are working on developing software to help with retinal image analysis, but computational analysis is currently much less accurate and reliable than that performed by humans.
+
독일 하이델베르그에 위치한 막스플랑크 의학연구소(MPI)에서는 이러한 망막 신경절 세포의 다양성을 연구하기 위해서 생쥐의 망막으로부터 자료를 확보했습니다 2광자 현미경(2 photon microscopy)과 연속블록면 전자주사현미경(serial block-fac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BFSEM)의 두 가지 영상 기술을 순차적으로 사용해서 과학자들은 망막 신경절 세포 내의 신경 활성 및 연결성을 모두 보여주는 영상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 영상은 분석과 해석이 매우 어려우며 그 과정은 매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절차입니다. MIT의 컴퓨터 전공자들이 망막 영상 분석을 돕기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에 몰두하고 있으나 컴퓨터를 이용한 분석은 현재 사람에 의한 분석에 비해 훨씬 덜 정확하고 믿을 만합니다.
  
==Navigating the Jungle==
+
==정글을 헤쳐나가다==
  
The ultimate goal motivating the research on the retina that is being done at places like MPI and MIT is to use 2P and SBFSEM images in order to identify specific cell types within the broad classes of retinal cells that were described earlier, and further to understand connectivity between these cells. Only once the different cell types have been comprehensively catalogued will researchers be able to investigate their specific functions.
+
MPI나 MIT와 같은 곳에서 진행되는 망막에 대한 연구에 동기부여를 해주는 궁극적인 목표는 앞서 설명한 넓은 분류의 망막 세포들 중에 존재하는 특정 세포 종류를 규명하고, 나아가 이들 세포간의 연결성을 이해하는 데 2광자 현미경과 연속블록면 전자주사현미경 영상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일단 서로 다른 종류의 세포들이 이해하기 쉽게 정리되어야 연구자들이 세포의 특정한 기능에 대해 연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This is where YOU come in!'''
+
'''당신이 필요한 곳이 바로 여기입니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re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