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translations

Jump to: navigation, search

Enter a message name below to show all available translations.

Message

Found 2 translations.

NameCurrent message text
 h English (en)==History==
The first characterization of amacrine cells is often attributed to Santiago Ramón y Cajal. Using the Golgi method of staining neurons, he first saw these cells in the avian retina in the late 1880s, naming them "amacrine" cells ("amacrine" meaning "without axon" in Greek). Though he was the first to call them amacrine cells, he built on the earlier work of J. Müller, who had previously described "spongioblasts" in the retina that were likely the very same cells Ramón y Cajal later named "amacrine."<ref name="Uchiyama 2005">H. Uchiyama & W. K. Stell (2005) [http://journals.cambridge.org/action/displayAbstract?fromPage=online&aid=398652 Association amacrine cells of Ramón y Cajal: Rediscovery and reinterpretation] Visual Neuroscience <strong>22</strong>: 881—891</ref>
 h Korean (ko)== 역사 ==
성화상 무축삭 세포는 그들 세포의 수지상 가지의 독특한 “별 모양 광채” 모양에 근거해 1970년대에 발견되었습니다. 나중인 1976년, 앞서의 발견과 완전히 독립적으로, 토끼의 망막에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을 분비하며 따라서 콜린성 신경세포로 불린 세포가 발견되었습니다. 가장 유력한 후보들은 양극성 세포와 무축삭 세포들이었지만 그 당시에는 망막의 콜린성 신경세포와 성화상 무축삭 세포가 동일한 세포라는 것이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후 1976년에 신경절 세포가 콜린성 신경세포의 시냅스후 세포임이 알려졌습니다.[14] 1980년대에 와서, 이들 두 부류의 세포들이 동일하다는 증거들이 알려졌으며 대부분의 증거는 아형들의 계층화에 근거하고 있었습니다(아래 구조 항목을 참조하십시오). 
1990년대 후반부터, 발생에서 성화상 무축삭 세포의 역할이 관심 대상 분야가 되었습니다. 이들 세포가 발달하고 있는 망막에서는 전혀 다른 기능- 망막파의 발생-을 수행한다는 것이 알려졌습니다(발생 항목을 참조하십시오). 
아마도 가장 연구가 많이 된 성화상 무축삭 세포 연구 분야는 방향 선택성 관련 분야일 것입니다. 방향 선택적 신경절 세포와 성화상 무축삭 세포 사이의 연결성은 일찍부터 알려져 있었습니다. 비록 초창기에 방향 선택성의 생성에 있어서 성화상 무축삭 세포의 역할과 관련해 논쟁이 있긴 했지만, 그들의 중요한 역할에 관해선 이제 동의가 이루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