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sion history of "Orientation Selective Ganglion Cell/ko"

Jump to: navigation, search

Diff selection: Mark the radio boxes of the revisions to compare and hit enter or the button at the bottom.
Legend: (cur) = difference with latest revision, (prev) = difference with preceding revision, m = minor edit.

  • (cur | prev) 16:12, 21 June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9,213 bytes) (-4)
  • (cur | prev) 04:08,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9,217 bytes) (+178). . (Created page with "이 연구를 통해 그들은 수용장의 흥분 구역은 찾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ref name=\"Marc1\"></ref> ==미결문제/상황== 무축삭...")
  • (cur | prev) 04:08,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9,039 bytes) (+220). . (Created page with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들은 신경전달물질인GABA를 합성할지 모르며 무축삭 세포의 GABA 농도와 유사한 정도의 GABA 농도를...")
  • (cur | prev) 04:08,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8,819 bytes) (+93). . (Created page with "알려진 다른 신경절 세포 종류와 비교해서 오리엔트 선택적 신경절 세포는 상대적으로 높은 GABA농도를 보입니다. 신경전달물질 글...")
  • (cur | prev) 04:08,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8,726 bytes) (+62). . (Created page with "세포의 크기와 세포에 있는 GABA의 농도는 AMPA 수용체의 반응성과 연관이 없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
  • (cur | prev) 04:07,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8,664 bytes) (+44). . (Created page with "다른 종류의 신경절 세포들은 양극성 세포에서 분비된 글루타메이트에 대해 다르게 반응한 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러한 것은 아마...")
  • (cur | prev) 04:07,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8,620 bytes) (+77). . (Created page with "Image: arbors1.png|thumb|400px|The receptive field of an orientation selective ganglion cell, with an excitatory center (+) and inhibitory surround (-).<ref name=\"Bloomfiel...")
  • (cur | prev) 04:07,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8,543 bytes) (+102). . (Created page with "수평적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의 수지상 가지는 수직적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의 수지상 가지에 비해 더 빽빽...")
  • (cur | prev) 04:06,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8,441 bytes) (+177). . (Created page with "OFF-중심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는 타원체처럼 생긴 세포체를 가지고 있으며 세포체의 양쪽으로 뻗은 두 개의 주요 수상...")
  • (cur | prev) 04:06,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8,264 bytes) (+140). . (Created page with "Image: side.png|thumb|400px|왼쪽에 ON-중심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 오른쪽에 OFF-중심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 위에...")
  • (cur | prev) 04:06,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8,124 bytes) (+18). . (Created page with "Image:arbors2.png|thumb|400px|왼쪽에 ON-중심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 오른쪽에 OFF-중심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ref n...")
  • (cur | prev) 04:06,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8,106 bytes) (+68). . (Created page with "==해부학적 구조(Anatomy)== 신경절 세포층에 나타나는 신경절 세포의 종류 중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는 상대적으로 작은 세...")
  • (cur | prev) 04:05,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8,038 bytes) (+150). . (Created page with "Image:diag1.jpg|thumb|left|260px|상단: 무축삭 세포와 양극성 세포로부터 수직적으로 선택적인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로의 시...")
  • (cur | prev) 04:05,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7,888 bytes) (+38). . (Created page with "OFF-중심 양극성 세포는 글루타메이트를 NMDA 및 AMPA/kainate 수용체에 전달하여 직접적인 흥분성 시냅스 입력신호를 오리엔테이션 선택...")
  • (cur | prev) 04:05,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7,850 bytes) (+140). . (Created page with "선호하는 오리엔테이션 상태의 수평적으로 선택적인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에서 억제(무축삭 세포로부터의 GABA)는 감소...")
  • (cur | prev) 04:05,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7,710 bytes) (+90). . (Created page with "GABA억제제를 사용하여 NMDA 활동이 다소 감소하는 것과 신경절 세포들이 오리엔테이션 선호성을 잃는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수직...")
  • (cur | prev) 04:05,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7,620 bytes) (+125). . (Created page with "Caldwell의 연구에서 억제제인 picrotoxin과 strychnine이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에 처리되엇습니다. Picrotoxin은 GABA억제제이고 str...")
  • (cur | prev) 04:04,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7,495 bytes) (+182). . (Created page with "수직적으로 선택적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가 선호하는 오리엔테이션에 대한 반응으로 흥분상태일 때 일시적인 NMDA 수용...")
  • (cur | prev) 04:04,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7,313 bytes) (+43). . (Created page with "이들 신경절 세포의 오리엔테이션 선택성은 주로 GABA 의 전달에 달려있습니다.<ref name=\"Caldwell\">Caldwell JH, Daw NW, Wyatt HJ (1978) Effects of...")
  • (cur | prev) 04:04,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7,270 bytes) (+164). . (Created page with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는 무축삭 세포와 양극성 세포로부터 시냅스 입력신호를 받습니다.<ref name=\"Venkataramani\"></ref> 오리...")
  • (cur | prev) 04:04,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7,106 bytes) (+208). . (Created page with "Venkataramani와 Taylor의 연구에서 수직적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의 오리엔테이션 선택성은 수평적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
  • (cur | prev) 04:03,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6,898 bytes) (+58). . (Created page with "===수평적 및 수직적으로 선택적 신경절 세포(Horizontally and Vertically Selective Ganglion Cells)===")
  • (cur | prev) 04:03,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6,840 bytes) (+19). . (Created page with "Image: pic9.png|thumb|right|300px|빛 띠의 길이가 과분극에 대해 갖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빛 띠의 길이를 감소시켜보았습니다.<ref name=\"...")
  • (cur | prev) 04:03,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6,821 bytes) (+12). . (Created page with "기록된 초기 과분극은 중심의 주변장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빛 띠의 길이가 감소하였고 과분극은 크기 면에서 감소했습니...")
  • (cur | prev) 04:02,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6,809 bytes) (+34). . (Created page with "OFF-중심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는 빛이 중심에서 제거되었을 때 초기 과분극에 이은 지속적 과분극 그리고 이후 탈분극...")
  • (cur | prev) 04:02,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6,775 bytes) (+5). . (Created page with "ON-중심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는, 세포의 수용장에 띠 모양 빛이 비춰질 때, 초기 과분극에 이은 큰 탈분극 과 spiking의 증...")
  • (cur | prev) 04:02,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6,770 bytes) (+68). . (Created page with "이들 세포의 수용장은 억제 구역에 둘러쌓인 흥분 구역인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폭이 95 마이크로미터이고 길이기 6 미리미...")
  • (cur | prev) 04:02,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6,702 bytes) (+44). . (Created page with "===선호 오리엔테이션에 대한 반응(Response to Preferred Orientation)===")
  • (cur | prev) 04:02,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6,658 bytes) (+24). . (Created page with "File:Receptivefield.png|thumb|right|300px|수평적으로 선택적인 오리엔트 선택적 신경절 세포의 수용장에 서로 다른 각도로 위치하는 빛 띠.<...")
  • (cur | prev) 04:02,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6,634 bytes) (+29). . (Created page with "중심 수용장은 선호하는 오리엔테이션의 축삭을 따라 길이에서 약 480 마이크로미터이며 반응이 없는 축을 따라서 길이는 약 230 마...")
  • (cur | prev) 04:01,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6,605 bytes) (+30). . (Created page with "이들 세포들의 타원형의 수용장은 억제 구역을 양 옆에 둔 중심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심 구역은 두 개의 억제 구역들을...")
  • (cur | prev) 04:01,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6,575 bytes) (+167). . (Created page with "===수용장 구조(Receptive Field Structure)===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는 타원형으로 수평 또는 수직 오리엔테이션을 선호하는 동...")
  • (cur | prev) 04:01,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6,408 bytes) (-51)
  • (cur | prev) 04:01,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6,459 bytes) (+42). . (Created page with "==생리(Physiology)== ===수용장 구조(Receptive Field Structure)===")
  • (cur | prev) 04:00,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6,417 bytes) (+146). . (Created page with "아이와이어에서 재구성된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Orie...")
  • (cur | prev) 03:59, 8 January 2016Pilnpat (Talk | contribs). . (16,271 bytes) (+16,271). . (Created page with "오리엔테이션 선택적 신경절 세포")